Author Archives: tylee129

Congraturation!

우리 연구팀의 지역사회 조울증 고위험군 역학조사와 선별도구 BPSS-AS-P 표준화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Community prevalence of at-risk state for bipolar disorder: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ipolar Prodrome Symptom Interview and Scale-Abbreviated Screen for Patients (BPSS-AS-P). Lee J, Lee T*, Correll CU. Asian J Psychiatry 2025 Aug, 104669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876201825003120#fig0015

Congraturation!

우리 연구팀이 조현병과 우생학에 대한 연구가 출판되었습니다.

Lee T. Schizophrenia, Eugenics, and Stigma: The Legacy of Nazi Psychiatry and Ethical Lessons for Modern Mental Health Care. Psychoanalysis. 2025 Jul 31;36(3):49-56.

http://www.jkapa.org/journal/view.html?uid=596&&vmd=Full

뇌영상 분석 워크샵을 개최합니다.

2025년 8월 1일에서 3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포항 라한호텔에서 뇌영상분석 워크샵을 실시합니다.
이번 워크샵은 저희 연구팀과 한양대학교 조항준 교수 그리고 부경대학교 강지영 교수 연구팀이 함께할 예정입니다.

Congraturation!

우리 연구팀이 참여한 ENIGMA 국제공동연구의 논문이 출판되었습니다.

Thalamo-cortical structural co-variation networks are related to familial risk for schizophrenia in the context of lower nuclei volume estimates in patients: an ENIGMA study. Lella A, Antonucci LA, Passiatore R, Bellantuono L, Selvaggi P, Popolizio T, Di Sciascio G, Saponaro A, Ricci P, Altamura M, Blasi G, Rampino A, Vriend C, Calhoun VD, Rootes-Murdy K, Goldman AL, Baeza I, Castro-Fornieles J, Sugranyes G, De la Serna E, Pomarol-Clotet E, Fatjó-Vilas M, Salvador R, Karuk A, Fuentes-Claramonte P, Glahn DC, Rodrigue AL, Blangero J, Wang L, Lee T, Einenkel KE, Hamers S, Gruber O, Preda A, Chung YC, Odkhuu S, Vallée C, Dazzan P, Marcelis M, Michielse S, Brosch K, Stein F, Nenadić I, Straube B, Thomas-Odenthal F, Kircher T, Carruthers S, Rossell SL, Sumner PJ, Van Rheenen TE, Demro C, Ramsay IS, Sponheim SR, Lencer R, Meinert S, Hahn T, Dannlowski U, Grotegerd D, Ciccarelli M, Iasevoli F, Pontillo G, Pearlson GD, Cobia D, Piras F, Banaj N, Vecchio D, Barendse MEA, van Haren NEM, Jo HJ, Sim K, Quidé Y, Green MJ, Slate R, Cecere G, Omlor W, Homan S, Homan P, Thomopoulos SI; Apulian Network on Risk for Psychosis; Turner JA, van Erp TGM, Thompson PM, Bertolino A, Pergola G. Biol Psychiatry. 2025 May 7:S0006-3223(25)01178-3. doi: 10.1016/j.biopsych.2025.03.027.

https://www.biologicalpsychiatryjournal.com/article/S0006-3223(25)01178-3/fulltext

정신과학 I

강의개요: 이 강의는 주요 정신질환의 병태생리를 신경심리학과 뇌기능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현병, 우울증, 양극성장애, 불안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지장애 등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나타나는 인지, 정서, 행동의 이상이 어떤 뇌기능 변화와 관련되는지를 다루며, 이를 통해 뇌-마음-행동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강의에서는 감각지각, 주의, 집행기능, 정서조절, 사회적 인지 등 핵심 인지기능의 손상이 정신질환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 각 기능의 뇌 회로와 임상 증상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 또한 단일 뇌 영역보다는 네트워크 수준의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와 해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강의는 정신질환을 생물학적 기반에서 설명하려는 현대적 접근을 소개하고, 신경심리학과 뇌과학 지식을 바탕으로 정신병리의 핵심 기전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학제 간 융합적 사고와 비판적 분석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권장선수교과목: 없음

권장후수교과목: 정신과학 II

강의언어: 한국어

교재 및 참고문헌: 

  1. Kaplan & 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y Robert Boland , Marcia Verduin , et al. | Apr 22, 2021
  2.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Textbook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by David B Arciniegas, Stuart C Yudofsky, et al. | Jun 21, 2018
  3. The Neuropsychology of Mental Illness by Stephen J. Wood, Nicholas B. Allen, et al. | Oct 1, 2009
  4. Understanding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sights from Neuroimaging by Adam Sutton, Adrian Cherney, et al. | Dec 9, 2010

수강참고사항: 본 강의는 사전학습과 발표, 토론을 중심으로 한 참여형 세미나 방식으로 진행된다. 매주 정해진 주제에 대해 기본 교재의 핵심 내용을 미리 학습하고, 관련 최신 연구 논문을 함께 읽은 뒤, 수업에서는 교수의 간략한 해설과 함께 핵심 쟁점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돌아가며 논문 발표를 맡아 해당 주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토론을 이끈다. 강의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서 정신질환에 대한 신경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와 학제 간 통합적 관점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학기 말에는 각자의 관심 주제에 대한 간단한 리뷰 과제나 세미나 발표를 통해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확장하는 시간을 갖는다.

강의목표: 본 강의는 정신질환의 병태생리를 신경심리학적 및 뇌기능 기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정신질환에서 나타나는 주요 인지·정서 기능의 손상을 뇌 회로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도록 학습하며, 관련된 최신 연구 결과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토론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다양한 학제적 관점을 통합하여 정신질환의 신경기제를 분석하고, 이를 자신의 연구주제와 연결하여 신경과학 기반 정신병리 이론을 실제 연구나 임상적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력을 갖추는 것을 지향한다.

평가방법: 사전학습 과제 및 참여도: 30%, 논문 발표 및 토론 기여도: 40%, 기말 리뷰 과제 또는 세미나 발표: 30%

주별강의: 

  1. Introduction to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2.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normative trajectories and risk for psychiatric illness
  3. Process and mechanisms in neuropsychiatry: sensory-perceptual processes
  4. Process and mechanisms in neuropsychiatry: motor-executive processes
  5. Neurobiology of the emotion response: perception, experience and regulation
  6. Frontal asymmetry in emotion,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7. Understanding language dysfunction in neuropsychiatric disorders
  8. Seminar I
  9. Associative memory
  10. Neural basis of attention
  11. Role of executive functions in psychiatric disorders
  12. Decision-making
  13. Neuropsychology of social cognition
  14. Seminar II
  15. Test and wrap-up

Congraturation!

우리 연구팀이 참여한 PSYSCAN 국제공동연구의 논문이 출판되었습니다.

PSYSCAN multi-centre study: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of the clinical high risk for psychosis sample. Tognin S, Vieira S, Oliver D, Cullen AE, Kempton MJ, Fusar-Poli P, Mechelli A, Dazzan P, Merritt K, Maat A, de Haan L, Lawrie SM, van Amelsvoort T, Arango C, Nelson B, Galderisi S, Bressan R, Kwon JS, Mizrahi R; PSYSCAN Consortium; Kahn RS, McGuire P. Schizophrenia (Heidelb). 2025 Apr 17;11(1):66. doi: 10.1038/s41537-025-00598-x.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37-025-00598-x

Congraturation!

우리 연구팀이 참여한 COH-FIT 국제공동연구의 논문이 출판되었습니다.

Collaborative Outcomes Study on Health and Functioning During Infection Times (COH-FIT): Global and Risk-Group Stratified Course of Well-Being and Mental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dolescents. Solmi M, Thompson T, Cortese S, Estradé A, Agorastos A, Radua J, Dragioti E, Vancampfort D, Thygesen LC, Aschauer H, Schlögelhofer M, Aschauer E, Schneeberger AA, Huber CG, Hasler G, Conus P, Do Cuénod KQ, von Känel R, Arrondo G, Fusar-Poli P, Gorwood P, Llorca PM, Krebs MO, Scanferla E, Kishimoto T, Rabbani G, Skonieczna-Żydecka K, Brambilla P, Favaro A, Takamiya A, Zoccante L, Colizzi M, Bourgin J, Kamiński K, Moghadasin M, Seedat S, Matthews E, Wells J, Vassilopoulou E, Gadelha A, Su KP, Kwon JS, Kim M, Lee TY, Papsuev O, Manková D, Boscutti A, Gerunda C, Saccon D, Righi E, Monaco F, Croatto G, Cereda G, Demurtas J, Brondino N, Veronese N, Enrico P, Politi P, Ciappolino V, Pfennig A, Bechdolf A, Meyer-Lindenberg A, Kahl KG, Domschke K, Bauer M, Koutsouleris N, Winter S, Borgwardt S, Bitter I, Balazs J, Czobor P, Unoka Z, Mavridis D, Tsamakis K, Bozikas VP, Tunvirachaisakul C, Maes M, Rungnirundorn T, Supasitthumrong T, Haque A, Brunoni AR, Costardi CG, Schuch FB, Polanczyk G, Luiz JM, Fonseca L, Aparicio LV, Valvassori SS, Nordentoft M, Vendsborg P, Hoffmann SH, Sehli J, Sartorius N, Heuss S, Guinart D, Hamilton J, Kane J, Rubio J, Sand M, Koyanagi A, Solanes A, A…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25 Apr;64(4):499-519. doi: 10.1016/j.jaac.2024.07.932.

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890-8567(24)02023-9

Congraturation!

우리 연구팀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의 현정호, 유재석 교수 연구팀과 공등으로 수행하는 “노인성 난치 질환 치료를 위한 지능형 초음파 모니터링 및 BBBO 기반 약물전달기술 개발 및 MD-PhD 뇌융합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DGIST-지역의과대학 글로벌 연구·교육 협력 프로그램에 과제선정 되었습니다.